치과의사 체내 중금속 축적량 ‘심각’
치과의사 체내 중금속 축적량 ‘심각’
  • 이가영 기자
  • 승인 2021.01.14 12:19
  • 호수 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은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검출량 허용기준 초과

치과의사가 일반인에 비해 수은과 알루미늄 등 체내 중금속 축적량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치과의사들의 수은 중독과 원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돼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적돼온 수은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검출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첫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치과의료정책연구원과 지후연구소는 지난달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치과의사의 중금속 중독 및 미네랄 결핍이 질병발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김무채·최치원·박경민)’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 1,182명 중 250명을 층화추출법으로 선정한 후 모발검사를 통해 치과의사들의 중금속 축적현황과 필수미네랄 결핍과잉 여부에 대해 분석했다. 이후 일반인 970명의 데이터와 비교했다.

검사 결과 허용 기준치를 초과한 중금속은 수은과 알루미늄으로, 각각 1.237/g, 11.954/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허용 기준인 1/g, 10/g을 모두 초과한 것으로, 일반인의 수은과 알루미늄 검출량과 비교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성별로 살펴보면 수은과 알루미늄, 비소는 남자치과의사에서 다량 검출됐으며 바륨은 여자치과의사에서 많은 양이 검출됐다.
 

고령일수록 중금속 검출량 증가

특히 치과의사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중금속 검출이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은은 연령증가에 비례적으로 축적량이 증가하는 반면, 알루미늄은 연령과 상관없이 전 연령대에서 비슷하게 검출됐다.

개원형태에서는 봉직의, 전공과목에서는 소아치과가 낮은 검출량을 보였으며, 경력이 올라갈수록 높은 검출량을 기록했다.

또한 연구진은 평균검출량이 높은 4개의 중금속에 대해 허용기준 이내의 정상군’, 허용기준 70% 이상의 위험군’,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초과군으로 세분해 구성비율과 평균 중금속 검출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수은의 경우 치과의사 250명 중 214(85.6%)위험군에 속했으며, 허용 기준치를 넘어선 초과군151(60.4%)이었다.

 

알루미늄도 체내 축적 심각

알루미늄 또한 수은과 마찬가지로 전체 250명 중 207(82.8%)이 위험군에 속했으며, 122(48.8%)초과군으로 나타나 치과의사의 알루미늄 체내 축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필수미네랄 검출분석에서는 아연, , 셀레늄이 허용 기준치에 현저히 미치지 못해 결핍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검사를 실시한 결과 250명 중 아연 224(89.6%), 220(80%), 셀레늄 115(46%)이 허용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중금속 중독에 따른 필수미네랄 함량을 분석한 결과 250명 중 227(90.8%)의 치과의사에게서 2개 이상의 중금속 복합 검출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 이상의 중금속이 검출된 경우도 14(9.6%)에 달해 중독성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높은 중금속 검출 및 필수미네랄 결핍은 다양한 미상증후질환 및 유병과의 높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어 치과의사의 건강에 실질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체계적 실험연구 추가 필요

치과의사들의 미상질병증후를 분석한 결과 총 250명의 치과의사 중 186(74.4%)이 불편함을 호소했으며, 피곤함(98, 20%)과 나른함(89, 18.2%)이 주를 이뤘다.

치과의사들이 진단받은 질병에 대한 유병상태를 조사한 결과 250명 중 84(33.6%)이 질환을 보유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진단유병은 소화기능저하 30(24.8%), 탈모 25(20.7%), 만성피로증후군 17(14%) 순이었다.

연구진은 치과의사의 체내 알루미늄 축적량 확인을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

연구진은 정상치가 2-5ppm인 알루미늄의 만성중독은 노인성 치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알루미늄이 과잉축적되면 상피소체호르몬의 분비 또한 증가해 뇌의 탈회현상을 일으키게 되는데, 중독증상으로는 부갑상선 호르몬 결핍에 따른 뇌의 탈회와 더불어 기억상실, 근위축증, 수족경련, 조직의 노화 등이 있다면서 이번 연구를 계기로 치과의사들에게 알루미늄의 과잉축적 되는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험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치과진료실 내에서의 중금속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발생오염원에 대한 특정과 더불어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각종 치과재료들의 취급 및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질에 대해서도 기준을 재정립하기 위한 실험실연구와 더불어 대한치과의사협회 차원의 정책적 접근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치과의사 중금속 중독은 직업병

이번 연구를 진행한 최치원(대한치과의사협회) 총무이사는 이번 연구는 치과의사의 중금속 중독뿐만 아니라 미네랄 결핍과잉 정도를 분석하고, 이로 인한 각종 질환 및 미상질병징후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면서 치과의사 체내에 중금속이 쌓여있다는 사실은 여러차례 확인이 됐지만, 알루미늄 중독에 대한 연구는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알루미늄 체내 축적에 대한 원인을 찾아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추가 연구를 촉발하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치과의사의 중금속 중독은 직업병과도 같다. 그러나 당장 신체의 변화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그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치과의사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미네랄 부족과 중금속 중독의 길항상승작용에 관한 복합관계를 밝혀내야 하며, 일반인과 같은 정상 수치로 되돌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를 위해서는 치과의사 개인의 주의보다는 발생오염원으로 추정되는 각종 치과재료의 성분 분석과 치과 진료실 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정부기관과 대한치과의사협회 차원의 정책도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